티스토리 뷰
목차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레오 3세의 성상을 금지하고 파괴하는 정책을 시작으로 유렵 기독교는 콘스탄티노플 중심의 정교회와 로마 시 중심의 로마 가톨릭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동로마에서는 정교회의 영향으로 성상이 금지되거나 엄격하게 관리되면서 점점 미술이 쇠퇴하였고, 서유럽은 로마 가톨릭의 영향을 받아서 다양한 미술로 발전하였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의 성상 금지와 미술 암흑기의 시작
725년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레오 3세는 우상 숭배 금지 율법에 따라 성상을 금지한다는 개혁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예수가 있는 십자가, 예수를 표현한 그림, 성모상 등을 모두 금지하고, 아주 많은 기독교의 성상을 부수도록 하였습니다. 성상을 만든 미술가들도 탄압받았고, 성상을 제작하다가 발각되면 가혹한 처벌을 받았습니다. 당시 미술 작품들은 교회 안에서 제작되고 있었기 때문에 미술의 암흑기가 닥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레오 3세의 이러한 결정은 세력이 커진 이슬람이 비잔티움 제국에게 위협이 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이슬람교가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교리에 충실했기 때문에 성장했다고 보고, 기독교도 성경에만 집중하면서 제국을 개혁해 보려고 했던 것입니다. 라벤나의 산타폴리나레 인 클라세 성당의 앱스와 콘스탄티노플의 하기아 이레네 성당의 앱스를 비교해보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하기아 이레네 성당의 앱스는 모자이크화 없이 십자가 상만 만들었습니다. 라벤나의 모자이크화가 남아 있을 수 있었던 것은 레오 3세의 우상을 파괴하던 시기에 라벤나가 비잔티움 제국이 아닌 게르만족의 영토였기 때문입니다. 서로마가 몰락한 이후 로마의 교황 그레고리우스 2세가 서유럽의 기독교를 이끌고 있었습니다. 콘스탄티노플에서 기독교를 통솔하던 레오 3세는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여 기독교 개혁을 해야 했지만, 로마의 그레고리우스 2세는 오히려 서유럽의 게르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해야 했기 때문에 성상이 필요했습니다. 라틴어를 모르는 게르만족에게 라틴어 성경으로 선교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성상을 이용한 선교가 효과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유럽 기독교의 분열
레오 3세의 우상 숭배를 금지하는 정책은 성상을 만들어왔던 그동안의 기독교의 전통을 부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많은 기독교인들은 갑자기 성상을 우상 숭배로 치부한 것을 받아들이기가 힘들었습니다. 로마 주교 그레고리우스 2세는 레오 3세에게 편지를 써서 성상이 왜 필요한지 설명하고 서쪽은 교황의 전적인 통제 하에 있게 될 것이라는 점을 신경 쓰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 편지는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며, 이는 동서 유럽의 교회가 분열하게 되는 시초가 됩니다. 레오 3세는 무력으로 진압하고자 군대를 로마시로 보냈지만 그레고리우스 2세의 의지를 꺾지 못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콘스탄티노플 중심의 기독교는 정교회로, 로마시 중심의 기독교는 로마 가톨릭으로 분리되었습니다. 후에 공론에 의해 정교회에서도 성상을 다시 허용하게 되지만 이콘이란 형태로 많이 움츠러듭니다. 이콘은 영어 아이콘과 같은 의미인데, 극도로 절제되고 입증된 이미지의 성상만이 거의 1,000년간 변하지 않고 이어집니다. 그런데 서유럽의 미술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크게 변화했습니다. 미술의 표현에 제약 없이 작품 활동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미켈란젤로와 같은 거장이 등장할 수 있었습니다.
분열된 기독교에서 성상의 의미
성상을 우상으로 여긴 레오 3세 이후에도 이러한 논쟁은 계속되었습니다. 그것은 16세기의 종교개혁운동이었는데, 그때도 개신교도에 의해 성상이 파괴되었습니다. 종교개혁운동은 성상을 찬성하는 기독교인들도 이교도라는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겉으로 표현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16세기 종교개혁운동 이후의 기독교 미술은 고유의 특성이 사라지고 형식적으로 변해갔습니다. 기독교 미술이 점차 성경의 내용을 알려주는 형식이 되면서 진짜 종교미술이 되어버렸습니다. 성상을 두고 갈등한 기독교에는 성상을 지키려는 진영과 우상을 파괴해야 한다는 두 진영으로 나뉩니다. 성상을 지키려는 쪽은 현실적으로 사람들과의 교류를 위해 널리 알려진 이미지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우상을 파괴해야 한다는 쪽은 불필요한 부분을 다 빼고 성경 자체를 따르는 것이 좋다는 원칙을 주장합니다. 우상을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근거는 기독교 미술에서 어떤 성상이 진짜 예수의 모습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제작하는 사람이나 감상하는 사람 입장에서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믿고 싶어 하는 대로 신의 이미지가 신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결국 우상 속에 갇히게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플라톤은 동굴의 우화에서 평생 동굴에서 동굴 벽의 그림자만 본 죄수들은 그 그림자를 진리로 여기고, 동굴 밖에서 진짜를 마주하더라도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미술이 허상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리스는 시학에서 사람이 볼 수 없는 진리를 예술이 대신해 줄 수 있다고 하며, 사람들이 그림을 보는 것은 그림이 진짜라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그림이 모방한 진리를 찾아내거나 사고를 통해 그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논쟁은 옳고 그름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